한세대학교 도서관, 최광현 교수와 함께하는 인문학 다락방 북토크 개최
「가족의 두 얼굴」책을 소재로 가족 관계에 필요한 ‘역지사지’와 ‘공감’ 등을 도출
한세대학교(총장 백인자)는 도서관 주관으로 2025학년도 ‘가을愛 도서관’ 프로젝트의 하나인 「가족의 두 얼굴」의 저자 최광현 교수와 함께하는 ‘인문학 다락방 북토크’를 영산비전센터 2층 Learning Commons 홀에서 25일 개최하였다.
이번 북토크 행사는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가족상담 전공 최광현 교수가 본인의 저서 「가족의 두 얼굴」을 중심으로 사랑하면서도 상처를 주고받는 가족 간의 심리 관계를 탐구하는 강의를 하고, 해당 강의에 대해서 강의자와 참여자 간의 질문과 생각을 나누는 공감형 인문학 소통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북토크 참여자는 저자와 대면하여 집필 의도, 작품의 배경, 책 속에 담긴 핵심 메시지를 생생하게 듣고 토론하며 폭넓은 인문학적 해석을 경험했다.
한세대학교 도서관은 이번 ‘인문학 다락방 북토크’ 행사를 통해 학생들의 인문학적 사고력, 글쓰기 능력, 비판적 표현력을 강화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전공 구분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어 전공 간 교류와 지식 확장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북토크 참여자들은 저자와 함께 토론식 진행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접하고 나아가 일상과 학문을 연결하는 인문학적 성찰을 체험하였다.
한세대학교 도서관 신현기 관장은 “한세대학교 도서관은 학생들의 학문 연구 공간과 더불어 지역 주민에게는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교육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라고 밝히고 “저자와 함께하는 ‘인문학 다락방 북토크’는 저자의 집필 의도와 메시지를 직접 듣고 토론하며 사고력과 표현력을 향상하고 전공 간의 교류와 지식 확장을 도모하기 위해 기획되었다”라고 전했다.
최광현 교수는 “독일에서 가족 상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2006년도부터 한세대학교에서 가족 상담과 관련된 강의를 하면서 강의자료를 정리하다가 집필한 것이 가족 간의 관계를 정리한 「가족의 두 얼굴」 책이다”라고 집필 의도를 밝히고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보려는 노력, 상대의 감정을 이해하려는 마음이야말로 가족 안의 수많은 갈등과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도구이다. 가족치료의 핵심은 ‘관계’와 ‘소통’이다. 그리고 소통의 핵심은 상대방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이다. 이런 노력을 ‘역지사지’, ‘감정이입’ 더 나아가 ‘공감’으로 정리하게 되었다”라고 말했다.

[사진 1. 저자와 함께하는 ‘인문학 다락방 북토크’ 행사를 설명하는 신현기 도서관장]

[사진 2. 저자와 함께하는 ‘인문학 다락방 북토크’에서 강의하는 최광현 교수]

[사진 3. 저자 최광현 교수와 함께하는 ‘인문학 다락방 북토크’ 행사장 모습 1]

[사진 4. 저자 최광현 교수와 함께하는 ‘인문학 다락방 북토크’ 행사장 모습 2]

[사진 5. 저자 최광현 교수와 함께하는 ‘인문학 다락방 북토크’ 행사장 모습 3]

[사진 6. 저자 최광현 교수와 함께하는 ‘인문학 다락방 북토크’ 행사장 모습 4]

[사진 7. 저자 최광현 교수와 함께하는 ‘인문학 다락방 북토크’ 행사장 모습 5]
북토크 참여자와 질문을 받고 답변하는 최광현 교수

[사진 8. 최광현 교수가 집필한 가족의 두 얼굴 책]

[사진 9. 저자 최광현 교수와 함께하는 ‘인문학 다락방 북토크’ 행사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