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스마트시티안전융합학과
지금까지는 도시의 무분별한 난개발과 부동산중심의 경제적 부동산 개발에 무질서가 난립되는 도시공간이 전 국토에 펼쳐진 상태에서 재개발이나 재건축, 도시재생사업으로 부분적 수선의 노력을 경주해 왔다. 또한 산업화의 급격한 도시집중으로 베드타운 형태의 뉴타운 위성도시가 도시의 외연을 확대시키며 국토균형발전의 역행을 해 온 것도 사실이다. 도시 위험지구, 싱크홀 대기 오염과 빛 공해, 소음 공해 등으로 삶의 질 지장을 초래하거나 위험에 처하기까지 이르는 상태에 이르는 처지가 되었다. 이러한 도시의 한계에 직면하고 있는 시점과 최근 인포데믹, 인공지능이 도래하여 새로운 국면의 4차산업이 도래한 시점에서 본교는 국내 최초로 4차산업 스마트시티 안전 융합학과를 AI, 빅데이터 도시의 수용력을 고려한 개발과 도시 안전을 확보하고 스마트한 도시를 개발, K-토지이용 공간적 정의, 공간민주화 이론 스마트시티와 위치기반 서비스, 재난영화치유론, 리빙랩, 탄소중립 도시의 문화자본 등을 신학과 철학의 융합한 인문 사회 공학위 융합적 사고를 확장 진흥하는 목적으로 학과를 개설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학과는 4차산업기술과 스마트시티 도시과학기법을 통해 최적의 토지 이용 시스템을 구축하고, 탄소중립 도시의 문화자본을 확장해야 한다. 이에 따라 4차산업 스마트시티 안전 융합학과는 전문지식 습득과 창의적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여 산업 발전과 국가경제에 기여하고자 한다.
교육목표
본 학과의 교육 목표는 4차산업기술과 스마트시티 도시과학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집중적인 연구 및 교수와 실습을 통하여 4차산업기술과 스마트시티 도시로 진입하는데 필수적인 신성장 엔진을 이끌어갈 핵심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4차산업기술과 스마트시티, 안전 분야에 창의적이고 국제화된 21세기형 인재 양성을 추구하고자 한다. 4차산업기술과 스마트시티 도시과학 이론과 실무 접목을 지향하는 선도적 연구 교육을 병행하여 미래의 스마트시티와 안전관련 4차산업분야에서 중추적인 일을 감당할 수 있도록 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 4차산업혁명시대의 관련 분야 전문교육(인공지능, 빅데이터분석 도시공간분석)
- 스마트시티 분야 전문가 양성(스마트시티 관련 전문자격증 평가 역량 보유)
- 안전 융합 분야 전문가 양성 (문제 해결을 위한 융합적 사고, 기술, 역량강화)
세부전공
4차산업 스마트시티 안전 융합학 전공
‘4차산업 스마트시티 안전 융합학’은 4차산업기술과 스마트시티 도시과학 기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본 전공에서는 4차산업기술과 스마트시티 도시과학의 이론 및 원리뿐만 아니라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적용기술과 기법까지 학습하여 이론적 지식과 실질적인 기술능력을 겸비한 창의적이고 선도적인 4차산업기술과 스마트시티 도시전문가로 교육 운영한다.
- 4차산업 스마트시티 안전 융합분야 교육 ( 4차산업 스마트시티 안전 융합관련 법규 · 제도 · 정책 등)
- 4차산업 스마트시티 안전 융합분야 전문가 양성 (스마트팩토리컨설팅전문가, 스마트시티 평가사, 스마트시티전문가, 교회재난 안전 전문가 등)
- 지속가능한 개발 ESG 지도사 양성 (ESG전문가, ESG평가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