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문화콘텐츠정책학전공 교과목 안내
문화산업론Ⅰ (Cultural Mountain)
- 현대사회에서의 문화자본, 문화산업의 개념과 살펴보고 문화산업 각 영역의 전반적인 현황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
문화 콘텐츠 경영Ⅰ (Culture, Content Management)
-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데 수업의 목적을 둔다. 문화콘텐츠와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다양한 장르의 미디어 콘텐츠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장르에 따라 상이한 문화콘텐츠 접근과 기획을 비교, 숙지한다. 또한 문화콘텐츠 기획에 필요한 미학적, 기술적 지식을 습득한다. 문화콘텐츠 관련 현장에서 이를 응용할 수 있는 지적 능력도 배양한다.
콘텐츠 비즈니스 (Contents Business)
- 문화콘텐츠 비즈니스의 체계와 구조를 이해하여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창출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디지털 콘텐츠와 모바일 콘텐츠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모델, 비즈니스 실행 전략, 마케팅 방안 등을 탐색한다. 더불어 문화콘텐츠 시장의 환경 분석과 성공 사례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 수익모델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 콘텐츠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 수익원 분석, 에이전시와 프로듀서의 역할, 콘텐츠 프로바이더 등에 관하여 연구하며 수익창출 모델과 성공 전략 그리고 수익 확대를 위한 제휴 전략 등을 탐색한다.
문화콘텐츠 사회적경제Ⅰ (Culture Content and Social Economy)
- 문화콘텐츠를 통한 사회적경제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사회 및 공공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사회적기업 및 협동조합 등 관련분야의 사회 혁신에 대한 기회탐색과 포착 그리고 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교육한다.
문화산업론Ⅱ (Cultural Mountain)
- 현대사회에서의 문화자본, 문화산업의 개념과 살펴보고 문화산업 각 영역의 전반적인 현황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
문화 콘텐츠 경영Ⅱ (Culture, Content Management)
-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데 수업의 목적을 둔다. 문화콘텐츠와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다양한 장르의 미디어 콘텐츠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장르에 따라 상이한 문화콘텐츠 접근과 기획을 비교, 숙지한다. 또한 문화콘텐츠 기획에 필요한 미학적, 기술적 지식을 습득한다. 문화콘텐츠 관련 현장에서 이를 응용할 수 있는 지적 능력도 배양한다.
콘텐츠매니지먼트 (Content Management)
- 콘텐츠를 산업적인 측면에서 파악하여 이에 걸맞는 매니지먼트 정책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산업적인 이해를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경제학적이고 경영학적인 개념에 대한 숙지와 이의 마케팅적인 응용에 중점을 둔다.
문화콘텐츠 사회적경제Ⅱ (Culture Content and Social Economy)
- 문화콘텐츠를 통한 사회적경제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사회 및 공공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사회적기업 및 협동조합 등 관련분야의 사회 혁신에 대한 기회탐색과 포착 그리고 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교육한다.
지역산업론Ⅰ (Regional Industry)
- 현대사회에서의 자본, 지역산업의 개념을 살펴보고 지역산업 각 영역의 전반적인 현황에 대해서 연구해 보며, 문화자본과 지역산업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고 산업 각 분야의 트랜드와 내용을 정리해 본다.
문화콘텐츠기획론Ⅰ (Culture Content Planning)
- 문화콘텐츠란무엇인가?미디어와문화콘텐츠의관계는무엇인가?이강의에서는21세기미래산업이라고불리우는문화콘텐츠산업의실체를파악하기위해드라마등의방송콘텐츠,<난타>와같은공연콘텐츠등다양한개별사례연구및기획,제작및유통과정에대한심도깊은고찰을하게될것이다.
멀티콘텐츠제작시스템Ⅰ(Multi Contents Production System)
-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활용한 기본적인 시스템을 익히고, 뉴미디어, 인터넷, 정보보안, 저작권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의 발전을 습득한다 콘텐츠에 대한 기획 및 구성 디자인 색채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기본적인 프로그래밍을 습득한다. 아울러 멀티미디어에 이론 및 실습을 총정리하고자 한다.
문화콘텐츠 도시재생Ⅰ (Culture Content Urban Regeneration)
- 문화자산의 특징인 물리적 자산과 인문적 자산, 프로그램과 결합하면서, 지역의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시너지효과 창출의 근거가 되고 있으며, 기존시설의 강화와 확장을 통한 지역재생형 도시재생과 융합적인 특징을 기반으로 지역혁신형 도시재생의 가능성을 보여줌을 확인하고, 이러한 문화콘텐츠 모델을 통해 지역과 연계된 문화자산을 토대로 도시재생의 방향을 택하고, 다양한 거버넌스들이 결합함으로써, 자생적인 선순환구조를 마련하는 기반이 구축된다는 점에서 의미를 배워본다.
문화콘텐츠 사회적경제Ⅱ (Culture Content and Social Economy)
- 문화콘텐츠를 통한 사회적경제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사회 및 공공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사회적기업 및 협동조합 등 관련분야의 사회 혁신에 대한 기회탐색과 포착 그리고 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교육한다.
지역산업론Ⅱ (Regional Industry)
- 현대사회에서의 자본, 지역산업의 개념을 살펴보고 지역산업 각 영역의 전반적인 현황에 대해서 연구해 보며, 문화자본과 지역산업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고 산업 각 분야의 트랜드와 내용을 정리해 본다.
문화콘텐츠기획론Ⅱ (Culture Content Planning)
- 문화콘텐츠란무엇인가?미디어와문화콘텐츠의관계는무엇인가?이강의에서는21세기미래산업이라고불리우는문화콘텐츠산업의실체를파악하기위해드라마등의방송콘텐츠,<난타>와같은공연콘텐츠등다양한개별사례연구및기획,제작및유통과정에대한심도깊은고찰을하게될것이다.
논문세미나 (Thesis Seminar)
- 논문 작성 절차에 따라 실제적으로 연구논문 프로포절을 작성해 본다. 즉 논문 주제 선정, 자료수집과 분석,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관련 문헌 고찰,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설정, 연구방법 설정 등의 과정을 거쳐 실제적으로 연구논문 계획서를 작성한다.
문화콘텐츠 도시재생Ⅱ (Culture Content Urban Regeneration)
- 문화자산의 특징인 물리적 자산과 인문적 자산, 프로그램과 결합하면서, 지역의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시너지효과 창출의 근거가 되고 있으며, 기존시설의 강화와 확장을 통한 지역재생형 도시재생과 융합적인 특징을 기반으로 지역혁신형 도시재생의 가능성을 보여줌을 확인하고, 이러한 문화콘텐츠 모델을 통해 지역과 연계된 문화자산을 토대로 도시재생의 방향을 택하고, 다양한 거버넌스들이 결합함으로써, 자생적인 선순환구조를 마련하는 기반이 구축된다는 점에서 의미를 배워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