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돌봄정책학전공 교과목 안내
돌봄학개론(the introduction to chid care study)
- 돌봄의 개념 이해, 도입, 성격, 운영 및 다양성과 역할 그리고 우리나라와 외국의 돌봄 정책을 탐색하고 돌봄학 정립을 위한 기초능력을 키우고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생애발달론(life-span development theory)
- 전생애의 신체, 인지, 사회정서 발달 및 특성 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애돌봄 연계 적용능력 및 연구능력을 키우는 데 목적을 둔다.
돌봄전문가론(child care expert theory)
- 돌봄전문가의 성격 및 특성을 이해하고 21세기 융합시대의 돌봄전문가로서의 역량 및 발전방안을 탐구하고 연구 지도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둔다.
돌봄경영론(child care management theory)
- 돌봄의 제반 운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돌봄의 인적자원 및 물적자원 등을 활용할 수 있는 돌봄경영에 대한 적용지도 및 연구 능력을 키우는 데
목적을 둔다.
돌봄활동론(child care activity theory)
- 돌봄의 제반 활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돌봄활동을 탐색하고 연구하여 실무에 적용하는 데 목적을 둔다.
돌봄행정론(child care administration theory)
- 돌봄행정의 이해를 바탕으로, 돌봄 계획안 및 지도안의 작성법, 문서 및 공문서 작성법, 강사관리 및 행정업무 처리 등 돌봄의 제반 행정에 대한 평가 및 적용 그리고 사례중심의 연구 능력을 키우는 데 목적을 둔다.
돌봄특성론(child care characteristics theory)
- 학교돌봄의 특성을 이해하고 탐구하여, 돌봄의 발전 및 강화, 연계 서비스 운영 등에 실제 적용할 수 있는 능력과 탐구 및 연구 능력을 키우는 데 목적을 둔다.
생활경영론(living management theory)
- 생활경영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생활경영 지도능력 및 연구능력을 키우는 데 목적을 둔다.
가족돌봄활동론(family and child care activity theory)
- 현대사회에서의 가족을 이해하고 가족의 행복하고 건강한 지원을 위한 가족돌봄에 대한 이해 및 연계 지원 및 연구 능력을 키우는 데 목적을 둔다.
아동돌봄활동론(child care activity theory)
- 초등학생 발달의 기초, 신체발달, 인지발달, 사회정서발달 등 아동돌봄에 대한 이해 및 활동지도 및 연구능력을 키우는 데 목적을 둔다.
특수돌봄활동론(disables child care activity theory)
- 특수학생의 이해, 문제행동과 지도 역할 등 특수돌봄학생에 대한 이해 및 적용 지도 및 연구 능력을 키우는 데 목적을 둔다.
위기경영론(risk management theory)
- 위기경영에 대한 이해 및 탐구를 바탕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위기경영 및 연구 능력을 키우는 데 목적을 둔다.
돌봄프로그램개발론(program development theory of child care)
- 돌봄의 질제고를 위한 돌봄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및 연구 능력을 키우는 데 목적을 둔다.
돌봄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of child care)
- 돌봄의 이해를 바탕으로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연구방법을 학습한다. 또한 논문주제 선정, 자료수집과 분석,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관련 문헌 고찰,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설정, 연구방법 설정 등의 과정을 거쳐 실제적으로 돌봄을 조사하고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데 목적을 둔다.
돌봄상담론(child care counselling theory)
- 돌봄 학생 및 학부모 상담의 필요성, 이해, 적용에 따른 인간관계의 탐구력 및 적용력, 그리고 돌봄의 발전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 능력을 카우는 데 목적을 둔다.
경영문화론(management culture theory)
- 경영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돌봄의 기본환경 설계와 구성, 유형별 교육환경 등 행복한 돌봄환경 문화조성을 위한 기획 및 적용 그리고 연구 능력을 키우는 데 목적을 둔다.